게임의 정의 - 호모루덴스 요한 하위징아
디지털게임을 정의하려면 우선 게임이라는게 무엇인지를 살펴보는게 우선인 거 같다.
게임의 요소에 디지털적인 요소가 더해진게 디지털게임인지, 아니면 아예 그 정의가 달라질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읽어본다. 읽을게 많아서 정의 부분만 읽고 나머진 훑듯 읽고 도서관을 떠나자!
전통적 게임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루덴스> 책
놀이의 특징 첫 번째, “놀이는 자유로운 행위이며 자유 그 자체이다. 두 번째 특징은 ‘일상적인’ 혹은 ‘실제’ 생활에서 벗어난 행위라는 점이다. 놀이는 ‘실제’ 생활에서 벗어나 그 나름의 성향을 가진 일시적 행위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p44
“놀이의 형태적 특징과 관련하여 모든 학자는 무사무욕(disinterestedness)을 들고 있다. ’일상적‘생활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놀이는 필요와 욕구의 충족이라는 명제 바깥에 있으며” ”놀이는 그 자체로 만족감을 얻는 일시적 행위이며, 그것으로 놀이의 소임은 끝난다.“p45
“놀이가 벌어지는 공간(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의도적이든 자연발생적이든)은 따로 마련된다.” p47
“경기장, 카드 테이블, 마법진(magic circle), 사원, 무대, 스크린, 테니스 코트, 법정 등은 그 형태와 기능에 있어서 모두 놀이터다.” P47
“이러한 놀이터는 일상생활의 세계 속에 자리 잡은 일시적 세계이고, 별도로 정해진 행위의 실천에 혼심의 힘을 기울이는 공간이다.” P47
“놀이터 내부에는 특정하면서도 절대적인 질서가 지배한다.” P47
“그것은 불완전한 세계와 혼란스러운 일상에서 잠정적이고 제한적인 완벽함을 가져다 준다.” P47
“놀이는 자체적으로 지고하고 절대적인 질서를 요구한다.” P47
“놀이는 이처럼 질서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학의 한 부분이 된다. 놀이는 아름다워지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런 미학적 요소는 질서정연한 형태를 창조하려는 충동과 동일한 것인데, 놀이의 모든 측면에 스며들어가 있다.” P48
“문제를 파악하여 그것을 해결하는 노력을 가져온다.” “진행되고 추진되기를 바라며 자신의 노력이 성공을 거두기를 바란다.” p48
놀이의 도덕성 문제 p49
“놀이가 경쟁의 특성을 띠게 되면 더욱 치열해지며, 그 치열함은 도박과 운동 경기에서 절정에 이른다”
“놀이 자체는 선과 악을 초월하지만, 놀이에 내재된 긴장의 요소는 놀이하는 사람의 심성, 즉 용기, 지구력, 총명함, 정신력, 공정함 등을 시험하는 수단이 되므로, 특정한 윤리적 가치를 부여한다. ”
“경쟁에서 이기고 싶은 강렬한 욕망에도 불구하고 게임의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컴퓨터 의존성..p155 7line)
놀이에서의 규칙
“규칙은 놀이가 벌어지는 장소와 시간에서 무엇이 ‘통용되는지’ 결정한다. 게임의 규칙은 절대적인 구속력을 가지고 있고” …“그 규칙을 위반하면 놀이의 세계는 붕괴한다.“p49
놀이의 행태적 특성 p53
“‘일상‘ 생활의 바깥에서 벌어지고, ’진지하지 않은‘ 성격을 갖고 있으며, 독립되어 있는 자유로운 행위이나, 놀이하는 사람을 완벽하게 몰두하게 만든다. 그것은 물질적 이해와는 상관이 없는 행위이고 아무런 이득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 나름의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가진 놀이터 내에서, 고정된 규칙에 따라 일정한 방식으로 수행된다….세상으로부터 벗어나 있음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