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게임 행위성의 미학 : 티응우옌

flame52 2025. 3. 27. 14:01
반응형

게임의 본질과 예술로서의 가능성: 티 응우옌의 논의를 중심으로

1. 서론

게임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철학적, 미학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철학자 티 응우옌(Thi Nguyen)은 게임을 "행위성의 미학(aesthetics of behavior)"으로 정의하며, 게임이 플레이어에게 특정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렇다면 게임이 특정한 행위성을 미적으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게임을 예술로 간주할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는 응우옌의 주장을 분석하고, 그의 정의를 바탕으로 게임이 예술로 인정될 수 있는지 검토해보고자 한다.

2. 게임은 행위성의 미학인가?

응우옌은 게임이 단순히 시각적·청각적 미학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어의 행동 양식을 설계하고 조형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즉, 게임은 특정한 목표와 규칙을 설정함으로써, 플레이어가 특정한 방식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어, 체스에서는 논리적 사고와 전략적 판단이 요구되며, 이러한 행위 자체가 미학적 경험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기존의 미학 이론과 차별화된다. 전통적으로 예술은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 예술(회화, 조각 등)이나 청각 예술(음악, 시 등)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응우옌의 관점에 따르면, 게임은 이러한 전통적인 미학적 경험을 넘어 플레이어의 능동적인 참여와 행동을 통해 독특한 미적 가치를 창출한다. 따라서 게임의 미학은 단순한 외형적 아름다움이 아니라, 플레이 과정에서의 행동 양식이 만들어내는 미적 경험에 있다.

3. 게임은 예술이 될 수 있는가?

예술의 정의는 시대와 철학적 관점에 따라 변해왔다. 클래이브 벨(Clive Bell)은 예술을 "유의미한 형식(significant form)"으로 정의하며, 감성적 경험을 불러일으키는 형태적 요소를 강조했다. 노엘 캐럴(Noël Carroll)은 예술이 반드시 특정한 미적 기준을 충족할 필요는 없으며, 인간의 창의성과 표현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정의를 고려할 때, 게임이 예술이 될 수 있는지는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1. 게임의 디자인과 표현 요소: 게임의 그래픽, 음악, 서사는 전통적인 예술의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니(Journey)"나 "그리스(Gris)"와 같은 게임은 강렬한 감성적 경험과 예술적 표현을 제공하며, 시각적·음악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 예술적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 게임의 행위적 미학: 응우옌의 주장에 따르면, 게임은 단순한 시청각적 요소를 넘어 플레이어의 행동을 예술적 경험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게임을 예술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행동의 미학"이 예술적 가치로 인정될 수 있는지가 중요한 쟁점이 된다. 만약 행동을 구성하는 방식 자체가 예술적 경험을 창출한다면, 게임은 기존 예술 개념의 확장을 통해 예술의 한 형태로 인정될 수 있다.

4. 반론과 논의

게임이 예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철학적 논란을 해결해야 한다. 첫째, 모든 게임이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 "행동의 미학"이라는 개념이 모든 게임에 적용될 수 있는가? 전략 게임과 스포츠 게임처럼 목표 달성이 주목적인 경우, 예술적 경험보다 기능적 경험이 우선될 수 있다.

둘째, 예술은 일반적으로 창작자의 의도가 반영된 표현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게임은 플레이어의 참여에 따라 예술적 경험이 달라질 수 있으며, 창작자의 의도가 반드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서, 게임의 미학적 경험이 예술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5. 결론

T. 응우옌의 "행동의 미학" 개념은 게임의 본질을 이해하는 새로운 철학적 시각을 제공한다. 게임은 플레이어의 행동을 설계하고 조형함으로써 독특한 미적 경험을 창출한다. 이러한 점에서, 게임이 예술의 범주에 포함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러나 게임의 예술적 지위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예술 개념을 확장하거나 재정의해야 하며, 모든 게임이 예술로 간주될 수 있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결론적으로, 응우옌의 논의는 게임을 예술로 바라보는 철학적 논의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게임의 미학적 가치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