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학28

게임이 예술인가? 컴퓨터 게임은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라 문화예술의 한 갈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¹, 동시에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게임 중독’을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으로 규정하고 이를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1)에 새로운 질병 항목으로 포함시킨 바 있다². 이처럼 동일한 대상이 예술적 표현의 형식으로 간주되면서도 병리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된다는 사실은, 게임이 단일한 개념적 지위에 귀속되기 어려운 복합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컴퓨터 게임의 개념적, 규범적 지위는 여전히 철학적 탐구의 대상이며, 특히 예술철학과 윤리학의 분석적 틀을 통해 그 본질과 가치에 대한 보다 정밀한 이론화를 시도할 필요.. 2025. 4. 10.
게임 행위성의 미학 : 티응우옌 게임의 본질과 예술로서의 가능성: 티 응우옌의 논의를 중심으로1. 서론게임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철학적, 미학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철학자 티 응우옌(Thi Nguyen)은 게임을 "행위성의 미학(aesthetics of behavior)"으로 정의하며, 게임이 플레이어에게 특정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렇다면 게임이 특정한 행위성을 미적으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게임을 예술로 간주할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는 응우옌의 주장을 분석하고, 그의 정의를 바탕으로 게임이 예술로 인정될 수 있는지 검토해보고자 한다.2. 게임은 행위성의 미학인가?응우옌은 게임이 단순히 시각적·청각적 미학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어의 행동 양식을 설계하고 조형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즉, 게임.. 2025. 3. 27.
게임사회 전시에 관련한 온라인 글 수집 나는 국현의 전시를 보는 동안, 응우옌의 이야기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게임이 새로운 재현 형식으로 평가되는 것은 부수적인 면이라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의 캐릭터, 컴퓨터 그래픽, 3D 등을 사용해 영화를 만든다 한들, 그것은 영화이지 게임은 아닌 것이다. 혹은 게임 콘솔을 조작해, 감상자가 마음대로 작품의 공간 안을 돌아다닌다고 해도 그것 역시 그러한 기술일 뿐이지 게임은 아니다.  안에 관람자가 자신의 역량을 다해서 분투해야 하는 게임은 얼마나 되었을까? , 를 제외하고는 (바로 그 팩맨이다. 뉴욕현대미술관이 소장했다)이 게임다운 게임 아니었을까? 게임의 외모들 혹은 게임의 제작 기술들 - 컴퓨터 그래픽, 3D, 콘솔에 의한 조작 등이 반드시 게임에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면, 우리.. 2025. 1. 16.
디지털 게임의 미학적 탐구 : 디지털 게임의 예술성과 미적 체험에 관한 연구 - 고진예 고진예 선생님의 논문 "디지털 게임의 미학적 탐구 : 디지털 게임의 예술성과 미적 체험에 관한 연구"를 읽으며 일부 발췌하는 것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내용 요약이나, 정리 없이 내용발췌만 있음)게임 디바이스는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pc, 플레이스테이션, 콘솔,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Mobile)등으로 다양해졌고, 인터페이스 직관적이고 감각적으로 변화되었다. 네트워크의 발달로 온라인 게임 플랫폼이 활성화 되면서 온라인 게임 접속자의 수가 1억명을 초과하는 RPG(Role-playing Game: 역할 수행 게임)게임도 발생하였다. 모바일 플랫폼에서 게임을 다운받아 즐기는 사용가자 PC게임을 앞서 고 있다. p.14 디지털게임의 주요 특징은 이미지 변형성 디지털 게임은 게이머가 마우스나.. 2024.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