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1

게임이 예술인가? 컴퓨터 게임은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라 문화예술의 한 갈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¹, 동시에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게임 중독’을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으로 규정하고 이를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1)에 새로운 질병 항목으로 포함시킨 바 있다². 이처럼 동일한 대상이 예술적 표현의 형식으로 간주되면서도 병리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된다는 사실은, 게임이 단일한 개념적 지위에 귀속되기 어려운 복합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컴퓨터 게임의 개념적, 규범적 지위는 여전히 철학적 탐구의 대상이며, 특히 예술철학과 윤리학의 분석적 틀을 통해 그 본질과 가치에 대한 보다 정밀한 이론화를 시도할 필요.. 2025. 4. 10.
게임 행위성의 미학 : 티응우옌 게임의 본질과 예술로서의 가능성: 티 응우옌의 논의를 중심으로1. 서론게임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철학적, 미학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철학자 티 응우옌(Thi Nguyen)은 게임을 "행위성의 미학(aesthetics of behavior)"으로 정의하며, 게임이 플레이어에게 특정한 행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렇다면 게임이 특정한 행위성을 미적으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게임을 예술로 간주할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는 응우옌의 주장을 분석하고, 그의 정의를 바탕으로 게임이 예술로 인정될 수 있는지 검토해보고자 한다.2. 게임은 행위성의 미학인가?응우옌은 게임이 단순히 시각적·청각적 미학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어의 행동 양식을 설계하고 조형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즉, 게임.. 2025. 3. 27.
좋은 전시, 나쁜 전시. 월간 미술 심지언 편집장그 전시 관람 이후 어떤 나의 호기심이었거나 관심사나 그 전시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 이런 것들이 이후에 확장될 수 있는 전시가 좋은 전시라고 생각한다아주 좋은 작품이지만 어떤 맥락에 어떻게 놓이는가작가들이 한참 활동을 많이 할 땐 여러곳에서 같은 작품들이 놓이는데,아쉬운 것은‘왜 이작가를 이렇게 밖에 못 보여줄까’하는 이런 아쉬움이 들 때가 있는 걸 보면좋은 작품이 그 작품만으로 굉장히 충만할 수 있지만, 전시라는 것은 전체적이 기획이 있어야 하고 그걸 풀어내는 방식이 있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가치나 힘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는 아쉽다.기획이 부재한 전시는, 기획없이 작품이 그냥 나열되어 있는 이런 전시는 별로 의미 없는 전시라고 생각하고, 시각적으로 포토제닉한 공.. 2025. 3. 25.
정의 - 타비노어 게임의 본질에 대한 질문이 게임이 기존의 문화 형식과 유사한지를 묻는 것으로 이해되며, 서사나 텍스트 형식으로 보는 내러톨로지적 접근, 새로운 디지털 매체에 속하는 게임으로 보는 루돌로지적 접근, 허구적 특성을 강조한 상호작용적 허구 접근법.1. 명목적 정의 - 일상적인 사용에서 나타나는 단어의 개념적 관계를 작성하려고 하며, 사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의 유형.컴퓨터 게임, 전자 게임, 콘솔 게임, pc 게임, 휴대용 게임 등은 모두 비디오 게임이나 그 일부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엄밀히 동의어가 아니다. 2. 실질적 정의 - 실제(real) 또는 경험적(empirical) 정의라고 부를 수 있으며, 경험적 정의는 대게 필요 조건과 충분 조건으로 정의 된다. 필요 조건과 충분 조건은 흔희 정의된.. 2025.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