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1

게임사회 전시에 관련한 온라인 글 수집 나는 국현의 전시를 보는 동안, 응우옌의 이야기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게임이 새로운 재현 형식으로 평가되는 것은 부수적인 면이라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의 캐릭터, 컴퓨터 그래픽, 3D 등을 사용해 영화를 만든다 한들, 그것은 영화이지 게임은 아닌 것이다. 혹은 게임 콘솔을 조작해, 감상자가 마음대로 작품의 공간 안을 돌아다닌다고 해도 그것 역시 그러한 기술일 뿐이지 게임은 아니다.  안에 관람자가 자신의 역량을 다해서 분투해야 하는 게임은 얼마나 되었을까? , 를 제외하고는 (바로 그 팩맨이다. 뉴욕현대미술관이 소장했다)이 게임다운 게임 아니었을까? 게임의 외모들 혹은 게임의 제작 기술들 - 컴퓨터 그래픽, 3D, 콘솔에 의한 조작 등이 반드시 게임에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면, 우리.. 2025. 1. 16.
논증 - 서정혁 저자가 서문에서 말하듯, 논리학 관련 책들이 열심히 공부한다고 해서 그렇게 공부한 것이 일상생활에 크게 도움되지 않는다고 생각되고 또 이 난해하고 복잡한 논리적 규칙들을 몰라도 먹고 생활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이게 논리학 공부를 기피하는 이유다. 진짜 먹고사는데 하등 의미없게 느껴지고 너무 괴리가 있게 느껴진다.하지만 ‘사실상 합리적 인간이 판단하고 선택하고 행동하는 대부분의 경우들에는 그 배후에 포괄적인 의미에서 논증이 숨겨져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 책을 읽는 데에는 각자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고, 나름의 이유를 가지고 읽고 있다면 그것도 일종의 논증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논증을 잘 한다는 것은 쉬운 답을 성급하게 제시하는 데 있지 않고, 찾기 힘들지만 포기하지 않고 .. 2025. 1. 4.
Definion of videogames - 그랜트 타비노어 Definion of videogames - 그랜트 타비노어비디오게임의 현재의 이론적 입정들과 그것들이 고전적 정의로 간주될 때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1. 서론"내러티브, 루돌로지, 인터렉티브 픽션의 각각의 이론적 입장은 비디오 게임의 특징을 제안한다"'게임 학자 제임스 뉴먼은 비디오 게임의 정의적 문제를 예술 정의 논쟁과 유사하게 보며 분석적 미학에서 정의적 논쟁을 통해 명확해져야 한다' 2. 비디오게임 이론 "첫 번째 부분에서 나는 현재의 이론적 입장들과 그것들의 고전적인 정의로 간주될 때 직면하는 명백한 문제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용어의 정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윤주이다민 - 152, 루돌리지스트들의 목적은 서사학적 접근을 통해서 조명되기 어려운 게임의 국면을.. 2024. 12. 8.
디지털게임 - 전경란 디지털 게임을 지칭하는 용어는 다양하다. 전자 게임, 비디오 게임, 콘솔 게임, 컴퓨터 게임, 모바일 게임 등등이 그것이다. 게임 역사가들은 용어의 혼란을 정리하기 위해 디지털 게임이란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초기 게임의 역사를 이루고 있는 중요한 게임들을 배제하는 문제가 있다. 1947년에 앨런 튜링(Alan Turing)이 컴퓨터에서 체스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했고, 같은 시기 토머스 골드스미스(Thomas T. Goldsmith Jr.) 등에 의해 아날로그 전자 장치에 기반을 둔 비디오 게임기가 제작되는 등 디지털 기술 이전에 이미 게임의 역사가 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1958년 윌리 히긴보섬(Willy Higinbotham)이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와 아날로그 컴퓨.. 2024.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