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게임이 예술이라면 디지털게임의 상호작용성으로 인해 달라지는 결말에 대해 해석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 인공지능 생성물이 해석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그 답을 찾아나가 보려고 한다.

오늘 읽어볼 논문은 윤주한 교수님의 2023 논문 ‘인공지능 예술은 해석 가능한가-의도주의의 전망’이다. 학술회의에서 저 논문 관련 발표를 하셨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때 당시에는 단토와 엮어 고민해 봤던 기억이 난다. 인공지능 예술인 MOMA에 전시 중이던 레픽아나돌의 작품을 떠올리며 단토는 어떻게 생각했을까 생각해 보았다. 단토가 일상적인 사물들이 예술로 변모된 것, 지각적으로 전혀 차이가 없는 두 사물이 하나는 예술의 지위를 갖는 것은 의도주의 때문이라도 생각했었는데, 이젠 반대로 인공지능 예술은 오히려 비의도주의적 해석으로 설명이 가능해 보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윤주한은 인공지능 예술을 의도주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를 탐색한다. 윤주한의 탐색을 바탕으로 디지털게임도 의도주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을지를 빗대 생각해 보려 한다.
(아래는 논문에 대한 내용정리이기보다 일부 발췌이다.)
인공지능이 예술적 창작을 할 수 있는지, 혹은 인공지능의 생성물이 예술작품일 수 있는지는 철학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논쟁적인 문제이다. 다만, 적어도 현재의 관행에서는 인공지능의 생성물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예술 지위를 인정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단 이러한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우리가 그다음으로 맞닥뜨리게 되는 주요한 문제들 중 하나는 ‘해석의 문제’이다. 즉 인공지능 생성물이 일단 예술이라고 전제한다면, 그 ‘예술작품’의 해석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38-39)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의도주의와 비의도주의를 각각 개괄하고, 인공지능 예술이 의도주의-비의도주의 논쟁에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자.(40)
다만 의도주의와 비의도주의가 공유하는 전제가 있는데, 그것은 예술작품이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즉, 두 입장 모두 해석이 어떤 예술작품의 진정한 혹은 ‘올바른’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이라는 것에 동의한다.(41)
두 입장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이 전제를 참으로 받아들이고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인공지능 예술’이라는 현상은 의도주의-비의도주의 논쟁에서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가? 우선 인공지능의 생성물도 예술이 될 수 있음을 일단 받아들인다면, 비의도주의와 의도주의는 공히 인공지능 생성 예술작품의 ‘진정한 의미’가 어떻게 결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 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일단 비의도주의 해석 모델을 통해 인공지능 생성 예술의 해석에 대해 해명하는 것은 별로 어려워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비의도주의는 예술작품의 내적 속성만으로도 충분히 그 진정한 의미를 결정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42)
강한 버전이건, 온건한 버전이건, 의도주의에 더 어려운 도전이 된다.
본고에서 다루는 가장 핵심적인 질문이 ‘인공지능 예술은 해석 가능한가’가 아니라 ‘인공지능 예술을 의도주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인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42)
이 문제 자체를 다루는 것은 본고의 범위와 목표를 벗어난다. 후술 하겠지만, 본고는 논의를 위해 우선 인공지능 생성물이 어떤 방식으로든 예술작품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관행을 존중하고, ‘인공지능 예술’이라는 현상이 불러일으키는 철학적 논의들에 대한 검토에 보다 중점을 둘 것이다.(p38 각주 3)
본 논문을 통해서 플레이어(감상자)의 해석과 행위에 따라 결말을 달리 할 수 있는 디지털게임이 예술가가 의도한 바에 의해 결정되고 예술가의 의도를 알아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의도주의(윤주한 203, 37)와 그에 반대하는 예술작품의 의미가 예술가가 의도한 바보다는 다른 요소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비의도주의(윤주한 2023, 37)적 측면에서 디지털게임의 상호작용성이 예술이 해석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인공지능 예술과 같이 디지털게임 또한 비의도주의 해석 모델로 설명한다면 어렵지 않겠지만, 윤주한의 의도주의 제안에 따라 디지털게임도 의도주의를 가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게 목표이기도 하다.
- 본격 3. IQA(인공지능 예술에 대한 의도주의 질문)도전 :의도주의 선택지
(계속 이어 쓰기 예정)
작품의 의미가 예술가의 실제 의도에 따라 결정되지만, 때때로 예외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이상적인 해석 모델에 반영하고자 한다.(40) 온건한 의도주의
'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사회 전시에 관련한 온라인 글 수집 (0) | 2025.01.16 |
---|---|
디지털 게임의 미학적 탐구 : 디지털 게임의 예술성과 미적 체험에 관한 연구 - 고진예 (2) | 2024.09.23 |
게임의 정의 - 호모루덴스 요한 하위징아 (0) | 2024.08.27 |
게임의 경험의 가치 ft. 논문읽기 (0) | 2024.08.24 |
게임이 예술이 되려면 (0) | 2024.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