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그리고 포스트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계승일까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진보와 계승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보편적으로는 모더니즘의 뒤를 이어 발생한 새로운 문화적·사회적·정치적·철학적 현상으로 해석됩니다. 모더니즘은 20세기 초반에 이루어진 혁명적인 예술과 문화 운동으로,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과 미래를 중시하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와 달리 포스트 모더니즘은 이러한 모더니즘적 이상에 대한 회의와 비판을 통해 발생한 문화·사회·철학적 현상입니다.
따라서,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과 연속성을 가지지만, 모더니즘의 진보와 계승보다는 모더니즘의 한계와 비판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으로 이해되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입니다.
아방가르드의 반예술적 시도
아방가르드는 20세기 초반에 유럽을 중심으로 일어난 문화적, 예술적 운동입니다. 이 운동은 기존의 전통적인 예술 개념을 거부하고, 대중문화와 기술의 발전에 기반한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추구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아방가르드는 반예술적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방가르드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분위기주의, 실루이테주니즘, 퓨쉬니즘, 콜라주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기존의 예술적 형식과 규칙을 무시하고, 자유로운 창작 방식과 새로운 재료, 기술을 활용하여 창조되었습니다.
이러한 아방가르드의 반예술적 시도는 당시 예술계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켰으며, 일부에서는 적대적으로 대처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아방가르드는 혁신적인 예술적 시도와 대중문화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으며, 이후 현대 예술과 디자인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모더니즘의 순수주의
모더니즘의 순수주의는 예술, 디자인, 아키텍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어난 혁명적인 운동 중 하나로, 기존의 예술적 전통과 규범을 탈피하고 순수한 예술을 추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모더니즘의 순수주의는 현실을 그대로 그리는 것보다는 더욱 간소하고, 추상적인 형태와 구성을 중요시하며, 이러한 형식과 구성에 대한 집착과 추구가 강조되었습니다. 이러한 추상성과 간소성은 현대 산업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기계성, 기술적인 선명함 등을 대변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같은 순수주의는 모더니즘의 다른 분야에서도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아키텍처에서는 기능성과 구성을 중요시하며, 장식성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발전했고, 디자인에서는 간결성과 기계적인 형태를 추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더니즘의 순수주의에 대해서는 일부에서는 지나친 형식주의와 기술중심성을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이후에는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모더니즘의 순수주의에 대한 비판이 확대되고, 다양한 형태의 예술과 디자인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아방가르드와 포스트 모더니즘의 연결성
아방가르드와 포스트모더니즘은 서로 다른 시대와 문화적 배경에서 발생한 예술적 운동이지만, 그들 사이에는 유사한 개념과 형식이 존재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습니다.
먼저, 아방가르드는 기존의 예술적 전통과 규범을 탈피하고 새로운 형태와 기술을 활용하여 창조하는 것을 추구하였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설적, 비규범적 접근과 유사합니다. 또한 아방가르드에서는 예술적 창작물의 확장과 대중화를 추구하였는데,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대중문화와 예술적 경계의 해소를 추구하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모더니즘의 단일적, 규범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이 나타납니다. 이는 아방가르드에서 모더니즘의 규범적인 예술 개념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던 것과 유사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현대사회와 문화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에 따라 예술적 형식과 방식을 다양화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는데, 이 역시 아방가르드에서 추구했던 다양성과 혁신적인 예술적 시도와 유사합니다.
'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나 아렌트가 말한 악의 평범성은 무엇을 의미할까. (1) | 2023.11.22 |
---|---|
피터 오스본 인터뷰 ' 아서 C. 단토' (0) | 2023.10.26 |
사진의 광전자적, 광화학적 측면에서 바라 본 진실성 (0) | 2023.03.06 |
벤야민과의 차이로 살펴보는 수잔 손택에 대하여 (0) | 2023.03.06 |
책)아트테이너 - 심상용 :: 아트스타?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