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학

사진의 광전자적, 광화학적 측면에서 바라 본 진실성

by flame52 2023. 3. 6.
반응형

사진의 진실성의 논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디지털 사진과 화학적 이전 사진과의 차이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요즘의 사진은 모두 조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하물며 요즘 사진은 인화지에 기계적으로 인화하는 사진이 없다 할 만큼, 디지털사진이 아니, 디지털기계가 만연한 사회가 되었고, 손쉽게 수정할 수 있기에 본인의 증명사진조차도 실제 그대로가 아니라는, 놀라운 세상에 지금 우리는 있다. 본인 증명사진을 1도 손대지 않은 날것 그대로인 사람 손들어!

그래서 디지털사진과 그 이전의 사진을 광전자적사진과 광화학적 사진으로 나눠 그 측면에서 사진의 진실성을 바라보고자 한다. 그럼 우선 광전자적 사진과 광화학적 사진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사진은 크게 광화학적 측면과 광전자적 측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광화학적 측면은 사진 필름과 같은 물리적인 매체를 사용하여 빛을 캡처하여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빛이 민감한 필름 표면에 노출되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은의 염기적 화합물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반응에 따라 필름에 이미지가 고정되고, 필름을 현상시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카메라가 나오기 이전에는, 대부분의 사진이 광화학적 측면에 기반하여 촬영되고 출력되었습니다.
  • 반면, 광전자적 측면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전자적인 매체를 사용하여 빛을 캡처하여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말합니다. 디지털 카메라는 빛을 받아 센서에 전기 신호를 만들어내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합니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 파일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서 손쉽게 저장, 수정, 공유할 수 있습니다.
  • 광화학적 측면은 사진의 역사적인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고, 디지털카메라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대부분의 사진이 이 방식으로 촬영되고 출력되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카메라의 등장 이후로는 광전자적 측면이 대세가 되었으며, 현재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더욱 손쉽게 사진을 촬영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 그럼, 광전자적, 광하학적 사진의 진실성은 어떻게 생각해 볼 수 있을까. 사진의 진실성에 대해서는 광화학적 측면과 광전자적 측면에서 각각 다른 측면이 있습니다.

  • 광화학적 측면에서는 필름이나 인화지 등 물리적인 매체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출력합니다. 이 경우, 사진은 촬영된 순간의 빛의 양과 조건에 따라 생성된 은 염기적 화합물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은 사실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광화학적 측면에서의 사진은 상대적으로 진실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반면, 광전자적 측면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적인 기기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저장합니다. 이 경우, 사진은 센서에 의해 빛이 수치화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미지가 완전히 디지털화되기 때문에, 사진의 진실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 사진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쉽게 수정, 조작, 혹은 합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결국, 사진의 진실성은 광화학적 측면과 광전자적 측면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진이 진실적이거나 완벽히 변형된 것은 아니며, 사진의 진실성은 그것이 촬영된 상황과 용도에 따라 다르게 인식됩니다.

그럼 사진은 결국 진실한가. 사진의 진실성은 어디에 있을까. 

반응형

댓글